2007년 AFC 아시안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7년 AFC 아시안컵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4개국에서 공동 개최된 대회이다. 2004년 8월에 개최국으로 선정되었으며, 예선에는 25개국이 참가했다. 이라크가 결승전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유니스 마무드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은 2011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인도네시아 - 아담 항공 574편 추락 사고
2007년 아담 항공 574편은 인도네시아 마카사르 해협 상공에서 추락하여 탑승자 102명 전원이 사망했으며, 사고 원인은 조종사 과실, 항법 장치 결함, 부실한 정비, 안전 경시 문화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밝혀졌다. - 2007년 베트남 - 미스 어스 2007
2007년 베트남에서 열린 미스 어스 2007 대회에서 86개국 참가자 중 캐나다 대표 제시카 트리스코가 우승했으며, 미스 에어(인도), 미스 워터(베네수엘라), 미스 파이어(스페인)를 포함한 16명의 준결승 진출자가 나왔고, 대한민국 대표 유지은이 특별상을 수상했다. - 2007년 베트남 - 러블리 로즈
스테판 고거 감독의 영화 러블리 로즈는 란, 하이, 투이를 중심으로 가족의 의미와 사회적 약자 간의 연대를 따뜻하게 그리며, 국제 영화제 초청 및 관객상 수상으로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2007년 AFC 아시안컵 | |
---|---|
기본 정보 | |
![]() | |
대회 이름 | AFC 아시안컵 |
기타 이름 | Piala Asia 2007 เอเชียนคัพ 2550 Cúp bóng đá châu Á 2007 |
개최국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
개최 기간 | 2007년 7월 7일 – 7월 29일 |
참가팀 수 | 16 |
연맹 | AFC |
경기장 수 | 8 |
도시 수 | 7 |
우승팀 | 이라크 |
우승 횟수 | 1 |
준우승팀 | 사우디아라비아 |
3위팀 | 대한민국 |
4위팀 | 일본 |
총 경기 수 | 32 |
총 득점 | 84 |
총 관중 수 | 724222 |
최다 득점 선수 | 유니스 마흐무드 (4골) 야세르 알카타니 (4골) 다카하라 나오히로 (4골) |
최우수 선수 | 유니스 마흐무드 |
페어플레이상 | 일본 |
최우수 골키퍼 | 누르 사브리 |
이전 대회 | 2004 |
다음 대회 | 2011 |
개회식 | |
![]() | |
언어별 표기 | |
영어 | AFC Asian Cup 2007 |
말레이어 | Piala Asia 2007 |
태국어 | เอเชียนคัพ 2007 |
베트남어 | Cúp bóng đá châu Á 2007 |
2. 개최국 선정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2004년 8월 6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집행위원회에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을 2007년 AFC 아시안컵 공동 개최국으로 선정했다.[21][22] 이 대회는 4개국 공동 개최가 되었는데, 이는 후보국들이 단독으로 대회를 개최할 만한 경제적 여력이 없었고, 후보국 간의 유치 경쟁이 과열되었기 때문이다.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06년 2월 22일부터 11월 15일까지 진행되었다. 개최국을 제외한 25개국이 예선에 참가했으며, 전 대회 우승국인 일본도 예선에 참가했다. FIFA 랭킹이 가장 낮은 2팀은 예비 라운드를 거쳐 최종 예선에 진출할 팀을 가렸으며, 최종 예선에서 각 조 1위와 2위를 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3. 예선
이번 대회에서는 처음으로 디펜딩 챔피언이 자동 출전권을 얻지 못했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은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권을 획득했다. 24개 팀이 4개 팀씩 6개 조로 나뉘어 본선 진출을 위한 경쟁을 벌였다.
3. 1. 본선 진출국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06년 2월 22일부터 2006년 11월 15일까지 진행되었다. 이번 대회에서는 처음으로 디펜딩 챔피언(일본)이 자동 출전권을 얻지 못했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은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권을 획득했다. 24개 팀이 4개 팀씩 6개 조로 나뉘어 최종 토너먼트의 남은 12자리를 놓고 경쟁했다.
팀 | 출전 자격 | 예선 통과 확정일 | 이전 대회 출전 기록1, 2 |
---|---|---|---|
인도네시아 | 공동 개최국 | 2004년 8월 7일 | 3회 (1996, 2000, 2004) |
말레이시아 | 2회 (1976, 1980) | ||
태국 | 5회 (1972, 1992, 1996, 2000, 2004) | ||
베트남3 | 2회 (19564, 19604) | ||
오스트레일리아 | D조 승자 | 2006년 8월 16일 | 0회 (첫 출전) |
카타르 | F조 승자 | 2006년 9월 6일 | 6회 (1980, 1984, 1988, 1992, 2000, 2004) |
일본 | A조 승자 | 5회 (1988, '1992', 1996, 2000, 2004) | |
사우디아라비아 | A조 준우승 | 6회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 |
이란 | B조 승자 | 2006년 10월 11일 | 10회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
한국 | B조 준우승 | 10회 (1956, '1960', 1964, 1972, 1980, 1984, 1988, 1996, 2000, 2004) | |
아랍에미리트 | C조 승자 | 6회 (1980, 1984, 1988, 1992, 1996, 2004) | |
오만 | C조 준우승 | 1회 (2004) | |
이라크 | E조 승자 | 5회 (1972, 1976, 1996, 2000, 2004) | |
중국 | E조 준우승 | 8회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 |
바레인 | D조 준우승 | 2006년 11월 15일 | 2회 (1988, 2004) |
우즈베키스탄 | F조 준우승 | 3회 (1996, 2000, 2004) |
:
:
:
:
4.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07년 AFC 아시안컵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4개국이 공동 개최하였다. 각 국의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국가 |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 |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 88,306명 |
팔렘방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 40,000명 |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 | 부킷잘릴 국립 경기장 | 87,411명 |
샤알람 | 샤알람 스타디움 | 69,932명 | |
태국 | 방콕 | 라차망칼라 스타디움 | 65,000명 |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19,793명 | ||
베트남 | 하노이 | 미딘 국립 경기장 | 40,192명 |
호찌민시 | 7군구 경기장 | 25,000명 |
5. 선수 명단
2007년 AFC 아시안컵에 참가한 선수 명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07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6. 시드 배정
시드 배정은 2004년 대회 성적이 아닌 2006년 10월 기준 FIFA 랭킹을 기초로 하였다. 이는 강팀들이 조별 리그전부터 서로 만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23] 시드 배정은 2006년 12월 19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있었다.
그룹 1 (개최국) | 그룹 2 | 그룹 3 | 그룹 4 |
---|---|---|---|
태국 (125위) 인도네시아 (144위) 베트남 (151위) 말레이시아 (153위) | 중국 (87위) 이라크 (89위) 아랍에미리트 (91위) 바레인 (108위) | 카타르 (52위) 우즈베키스탄 (59위) 사우디아라비아 (62위) 오만 (63위) | 오스트레일리아 (37위) 이란 (43위) 일본 (46위) 대한민국 (48위) |
7. 조별 리그
2007년 AFC 아시안컵은 4개국 공동 개최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별 상위 2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 '''A조:''' 이라크 (1승 2무)와 오스트레일리아 (1승 1무 1패)가 8강에 진출했다. 태국 (1승 1무 1패)과 오만 (2무 1패)은 탈락했다.
- '''B조:''' 일본 (2승 1무)과 베트남 (1승 1무 1패)이 8강에 진출했다. 아랍에미리트 (1승 2패)와 카타르 (2무 1패)는 탈락했다.
- '''C조:''' 이란 (2승 1무)과 우즈베키스탄 (2승 1패)이 8강에 진출했다. 중국 (1승 1무 1패)과 말레이시아 (3패)는 탈락했다.
- '''D조:''' 사우디아라비아 (2승 1무)와 대한민국 (1승 1무 1패)이 8강에 진출했다. 인도네시아 (1승 2패)와 바레인 (1승 2패)은 탈락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여러 이변이 발생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오만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무승부를 기록했고, 베트남은 아랍에미리트를 2-0으로 꺾었다. 카타르는 일본과 1-1 무승부를 기록했고, 인도네시아는 바레인을 2-1로 이겼다.[4]
지난 대회 준우승팀인 중국은 이란과 2-2로 비겼지만 우즈베키스탄에 0-3으로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바레인은 대한민국을 2-1로 이겼지만 사우디아라비아에 0-4로 패하며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했다.[19]
7. 1. A조
날짜 | 경기 | 득점 | 경기장 |
---|---|---|---|
2007년 7월 7일 | 태국 vs 이라크 | 1 – 1 | 라차망칼라 스타디움, 방콕 |
2007년 7월 8일 | 오스트레일리아 vs 오만 | 1 – 1 | 라차망칼라 스타디움, 방콕 |
2007년 7월 12일 | 오만 vs 태국 | 0 – 2 | 라차망칼라 스타디움, 방콕 |
2007년 7월 13일 | 이라크 vs 오스트레일리아 | 3 – 1 | 라차망칼라 스타디움, 방콕 |
2007년 7월 16일 | 태국 vs 오스트레일리아 | 0 – 4 | 라차망칼라 스타디움, 방콕 |
2007년 7월 16일 | 오만 vs 이라크 | 0 – 0 |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방콕 |
7. 2. B조
- 2007년 7월 7일 태국과 이라크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태국의 숙솜낏이 전반 6분만에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이라크의 마무드가 전반 32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4]
- 2007년 7월 8일 오스트레일리아와 오만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오만의 알 마이마니가 전반 32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오스트레일리아의 케이힐이 후반 추가시간에 극적인 동점골을 기록했다.[4]
- 2007년 7월 13일 이라크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에서 이라크가 3-1로 승리했다. 이라크는 나샤트가 전반 23분 선제골, 하와르가 후반 15분 추가골, 카라르가 후반 41분 쐐기골을 기록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비두카가 후반 2분에 만회골을 넣었지만 경기를 뒤집지는 못했다.[4]
- 2007년 7월 16일 태국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4-0 대승을 거두었다. 비우챔프가 전반 21분 선제골, 비두카가 후반 35분과 38분에 연속골, 큐얼이 후반 45분에 추가골을 기록하며 오스트레일리아가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4]
7. 3. C조
wikitext2007년 AFC 아시안컵 C조는 2007년 7월 10일부터 7월 18일까지 진행되었다. 이란이 1위를 차지하여 우즈베키스탄과 함께 8강에 진출했다. 중국과 말레이시아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 |
---|---|---|---|---|---|---|---|---|
이란 | 7 | 3 | 2 | 1 | 0 | 6 | 3 | +3 |
우즈베키스탄 | 6 | 3 | 2 | 0 | 1 | 9 | 2 | +7 |
중국 | 4 | 3 | 1 | 1 | 1 | 7 | 6 | +1 |
말레이시아 | 0 | 3 | 0 | 0 | 3 | 1 | 12 | -11 |
- '''2007년 7월 10일'''
- '''2007년 7월 11일'''
- '''2007년 7월 14일'''
- '''2007년 7월 15일'''
- '''2007년 7월 18일'''
7. 4. D조
D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2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이 1승 1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여 8강에 진출했다. 인도네시아와 바레인은 각각 1승 2패를 기록했지만, 승점 차이로 인해 8강 진출에 실패했다.경기일 | 경기 | 결과 |
---|---|---|
2007년 7월 10일 | 인도네시아 vs 바레인 | 2-1 |
2007년 7월 11일 | 대한민국 vs 사우디아라비아 | 1-1 |
2007년 7월 14일 | 사우디아라비아 vs 인도네시아 | 2-1 |
2007년 7월 15일 | 바레인 vs 대한민국 | 2-1 |
2007년 7월 18일 | 대한민국 vs 인도네시아 | 1-0 |
2007년 7월 18일 | 사우디아라비아 vs 바레인 | 4-0 |
특히, 바레인은 한국을 2-1로 이겼지만, 사우디아라비아에 0-4로 패하며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했다.[19]
8. 결선 토너먼트
2007년 AFC 아시안컵의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90분 경기 후 승부가 나지 않으면 30분 연장전(골든골/실버골 방식 미적용)을 실시하고, 그래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승부차기로 승자를 결정했다.
8강전에서는 이라크가 베트남을 2-0으로 꺾었고, 일본은 오스트레일리아와 1-1 무승부 후 승부차기(4-3)로 승리했다. 대한민국은 이란과 0-0 무승부 후 승부차기(4-2)로 이겼으며, 사우디아라비아는 우즈베키스탄을 2-1로 이겼다.
준결승전에서는 이라크가 대한민국과 0-0 무승부 후 승부차기(4-3)로, 사우디아라비아가 일본을 3-2로 꺾고 각각 결승에 진출했다.
3·4위전에서는 대한민국과 일본이 0-0 무승부 후 승부차기(6-5) 끝에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했다.
결승전에서는 이라크가 사우디아라비아를 1-0으로 꺾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8. 1. 8강전
(승부차기 4-3)(승부차기 2-4)